주식 매매 주문 방법의 종류
매매주문을 내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까? 실제로 주문을 낼 때 당황하지 않도록 유형별 장단점을 잘 알아두자.
1 지정가 주문 |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하여 내는 주문으로서,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주문 형태이다. 지정가 주문을 낸 후 현재 시세가 호가와 맞지 않으면 호가를 정정하여 다시 주문을 낸다. |
2 시장가 주문 |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직접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 또는 형성 될 가격으로 매매 주문을 내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매수주문은 시장에 나와있는 매도주문 가격에 체결되고, 매도주문은 매수주문 가격으로 체결 된다.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확실이 체결 되기를 원한다면 시장가 주문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사는 쪽과 파는 쪽의 호가 공백이 클때는 원하는 가격보다 불리하게 체결 되는 단점이 있다. |
3 조건부 지정가 주문 | 투자자가 장중에 지정가 주문을 냈으나 지정한 가격에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 장마감 전 10분 간의 동시호가 시간의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 되는 주문이다. 장중 시세를 계속해서 지켜 볼 수 없는 투자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주문 방법이다. |
4 최우선 지정가 주문 | 투자자가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매수주문의 경우는 최우선 매수호가로, 매도주문의 경우는 최우선 매도호가로 지정되는 주문이다. 정규 거래시간 중에 가능하다. |
5 조건부여 주문 |
조건부여 주문이란 일정한 조건을 부쳐서 주문을 내는 것을 말한다. IOC주문과 FOK주문 두가지가 있다. IOC(Immediate or Cancle)주문은 주문수량 중 체결 할 수 있는 수량에 대해서만 매매를 체결하고 매매되지 않은 수량은 취소하는 조건이 붙은 주문이다. FOK(Fill or Kill)주문은 주문 수량 전부에 대해 매매를 체결 할 수 있는 경우에만 매매하고,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문 수량을 전부 취소 하는 조건을 붙인 주문이다. 목표 수량을 정해두고 수량단위로 매매 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기관투자가가 활용하는 주문 방법 중 하나이다. IOC : 주문 즉시 체결 그리고 잔량 자동 취소 FOK: 주문 즉시 전부 체결 또는 전부 자동 취소 |
'주린이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공부] 주식 평단가 계산기, 수익률 계산기, 목표가 계산기 (0) | 2020.08.21 |
---|---|
[주린이의 공부] 저평가주를 고르는 2가지 기준 , 적정주가 계산법 (0) | 2020.08.21 |
[주린이의 공부] 동시호가, 주식시장 매매체결의 원칙 (0) | 2020.08.17 |
[주린이의 공부] 주생아, 주린이를 위한 주식투자 5계명 (0) | 2020.08.17 |
[주린이의 공부] 주식 용어, 주식 은어에대해 알아보자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