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장마철 비 젖은 신발냄새(발 냄새) 제거방법과 방수스프레이 추천

 


장마철 갑자기 내린 폭우에 미처 피하지 못하고 옷이며 신발이 비에 흠뻑 젖어버렸던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겁니다.

문제는 이상하게도 이렇게 비에 젖은 신발이나 옷은 세탁해 말려도 특유의 퀴퀴한 냄새가 잘 제거 되지 않아서 고생하기도 합니다.
왜 비에 젖은 신발은 냄새가 나고 세탁해도 잘 없어지지 않을까요?

오늘은 장마철 비 젖은 신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과 비가 와도 신발이 젖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   차

1. 비 젖은 신발 냄새 왜 나는걸까?

2. 비 젖은 신발 냄새 제거하는 방법 

                2-1) 젖은 신발을 잘 건조하는 방법 4가지

                                        2-2) 건조 후에도 나는 신발 냄새, 신발 냄새 제거법 3가지

3. 비 젖지 않는 신발 관리법 방수 스프레이

 

 

 

 

1. 비 젖은 신발 냄새 왜 나는걸까?


발 냄새는 발에서 나는 땀과 발의 각질층의 세균이 결합하여 고약한 냄새를 풍기게 될 때 풍기는 악취입니다.

 

특히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신발을 장기간 신어 발에 땀이 났을 때, 신발을 신고 비를 맞았을 때 발의 세균과 습기가 만나 쉽게 악취를 풍기게 됩니다. 더운 여름 장마철이 되면 발에서 땀도 많이 나고 날씨도 습하니 발 냄새는 더 심해지는 것이죠. 


맨발로 신발을 신거나 스타킹 등을 신고 신발을 신을 때에도 발 냄새가 날 수 있는데 스타킹은 양말에 비해 땀이 잘 흡수되지 않는 재질이기 때문입니다. 맨발은 뭐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땀(습기)과 세균이 결합하면 이소발레르산 이라는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것은 마치 청국장이나 오래 발효된 치즈 냄새 같은 퀴퀴한 악취를 만들어 냅니다.

 

이 이소발레르산은 산성이기 때문에 약간의 시큼한 냄새도 동반하는데 단백질이 분해되며 생성되기 때문이며 그렇기 때문에 발가락 무좀이 있는 사람일 경우, 바로 무좀균이 땀과 만나 그 악취가 더욱 심각해 지는 것입니다.

 





2. 비 젖은 신발 냄새 제거하는 방법


2-1) 젖은 신발의 건조가 먼저! 젖은 신발을 잘 건조하는 방법 4가지

 

① 신문지 활용

신문지 종이는 코팅이 되어있지 않은 재질로 제습효과가 매우 뛰어나 신문지를 젖은 신발 속에 구겨서 꽉 채워주면 신문지가 신발의 습기를 흡수하여 더욱 빠르게 신발을 건조 할 수 있습니다.

신문지는 신발을 빠르게 건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젖은 신발의 흐트러진 모양도 바로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신문지를 신발에 채운 후, 일정 시간이 지날 때마다 한번 씩 갈아주면 건조 시간을 더 단축 할 수 있습니다.

 

 

 

② 헤어드라이어 + 비닐 봉지를 활용한 건조법

신문지로 어느 정도 습기를 제거하였다면 다음으로 젖은 신발을 조금 더 빨리 건조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신발이 들어갈 만한 큰 비닐 봉지에 젖은 신발을 넣고 비닐 봉지 입구에 헤어드라이어를 넣어 공기가 새지 않게 손으로 잡아줍니다. 그리고 나서 헤어드라이어를 작동시켜 바람을 봉지 않으로 빵빵하게 넣어주면 젖은 신발을 더욱 빨리 건조 시킬 수 있습니다. 이 때 신발이 담긴 비닐봉지 끄트머리에 작은 구멍을 몇 개 뚫어 바람이 약간씩 빠져 나가게 통풍구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뜨거운 바람은 신발을 변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미지근하거나 찬 바람으로 말려줘야 합니다.

 

 

 

③ 빈 병 활용

다 마신 맥주병이나 와인병 혹은 1.5리터 생수병이 있다면 빈 병 목 부분에 신발을 뒤집어 꽂아서 말려줍니다. 신발 밑창은 고무 재질이기 때문에 뒤집어서 병에 꽂아두면 젖은 신발을 더욱 빨리 건조 시킬 수 있습니다.

  

 

 

④ 10원짜리 동전 활용

10원짜리 동전은 주 성분이 구리로 구리는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냄새를 없애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이 10원짜리 동전을 신발에 넣어두면 신발을 더욱 빨리 건조 시킬 수 있습니다.

비에 젖지 않은 신발이거나 평소에도 신발 밑창 속에 10원짜리 동전 2-3개를 넣어두면 발의 세균을 살균하여 발냄새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2) 건조 후에도 나는 신발 냄새, 신발 냄새 제거법 3가지

 

비에 젖은 신발을 잘 건조하였음에도 신발 냄새가 빠지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는 땀이나 습기가 건조 되어 있을 상태보다 건조가 시작 되고 마를 때, 신발 속에 남아있는 발 냄새가 더 심하게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신발 속에 남아있는 냄새를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① 구연산 활용

 

구연산은 마트나 다이소에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구연산은 물 때 제거, 냄새 제거에 뛰어난 천연세제 역할을 합니다. 물과 구연산을 섞어서 구연산수를 만든 후 분무기에 넣어 신발에 자주 뿌려주면 좋습니다. 

 

 

② 식초물에 신발 담그기

 

물 7리터 정도에 식초 두컵을 넣고 이 물에 운동화를 담가줍니다. 가죽구두나 스웨이드 신발은 안됩니다. 운동화일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알칼리성인 악취와 산성인 식초가 만나 중성화되며 냄새가 사라지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③ 알콜 활용

 

헝겊에 알콜이나 소주를 묻혀서 신발 안쪽을 닦아줍니다.

알콜 성분이 발냄새 원인인 곰팡이를 제거하여 악취를 잡아주고 항균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발가락이 닿는 곳 신발 안쪽까지 깊숙이 넣어 닦아주는것이 중요합니다. 

 

 

 

 

 

 

 

 

 

3. 비 젖지 않는 신발 관리법 : 신발 방수 스프레이

 

세균은 25도 ~40도의 따뜻한 온도에서 더욱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고온 다습해지는 여름, 장마철엔 특별히 신발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하는데 이 때, 신발 방수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방수효과와 더불어 신발 오염이 훨씬 덜하게 되어 오래 신발을 신을 수 있습니다.

 

신발 방수 스프레이 사용하기

 

 

방수 스프레이는 공기는 통하게 하지만 물은 차단시키는 방수액을 신발 표면에 뿌려 젖지 않도록 관리 할 수 있는 아이템입니다.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① 1회 분사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약 10~20cm 거리를 두고 신발의 표면과 안쪽 뿐만아니라 밑창에 골고루 방수 스프레이를 분사합니다.
  • ② 건조
    빛이 잘 드는 곳에서 최소 30분 이상 건조합니다. 건조 시간이 길면 코팅 효과가 더 좋습니다.

  • ③ 2회 분사
    여러번 덧 뿌리면 방수 효과가 더 좋은데 덧 뿌릴 때에는 처음 분사하고 어느정도 건조 후에 다시 뿌려주어야 합니다.

 

 

보통 1회 코팅으로 약 6개월간 방수 성능이 지속되며, 스프레이 150ml 1통으로 약 4~5켤레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세제(계면활성제)가 닿으면 코팅성분의 효력이 떨어지므로 신발을 세탁 한 후에는 다시 한번 방수 스프레이를 분사하여 신발을 코팅시켜주면 됩니다.

 

신발 방수 스프레이는 무색 무취로 대부분 어떤 소재의 신발이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스웨이드, 가죽, 면 등 모든 소재의 신발에 왠만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신발 방수 스프레이 종류 알아보기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

 

 

 


오늘은 비 젖은 신발 냄새 제거 방법과 신발을 잘 관리 할 수 있는 제품 신발 방수 스프레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장마철이나 겨울 눈이 많이 내일 때 신발 관리에 방수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신발을 더 잘 관리하며 오염도 방지할 수 있어 오래 신을 수 있습니다. 또 습기에 노출되지 않으니 비에 젖어 나는 신발 냄새도 원천 차단할 수 있습니다. 

모두 쾌적한 여름나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