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 거래 시간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로 이를 정규 증권거래시간이라고 한다.
한국거래소는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거래량 확대를 위해 2016년 8월 정규 증권거래 마감시간을 기존 3시에서 3시 30분으로 연장하였다.
한국 증권거래소 거래 시간
정규시간 | 09:00 ~ 15:30 (1월 2일 10:00~15:30) |
동시호가장 시작 | 08:30 ~ 09:00 |
시간외 종가 장전 | 08:30 ~ 08:40 (전일 종가로 거래) |
동시호가장 마감 | 15:20 ~ 15:30 |
시간외 종가 장후 | 15:40 ~ 16:00 (당일 종가로 거래) |
시간외 단일가 | 16:00 ~ 18:00 (10분단위로 체결, 당일 종가대비 ±10% 가격으로 거래) |
그럼 미국 주식의 거래시간을 한국시간 기준으로 알아보자.
미국주식 거래 시간 (미국동부 현지 시간 기준)
썸머타임 해제 기간 | 썸머타임 기간 (2020년 기준 : 3월 8일~ 11월 1일) | ||
장전 거래 (프리마켓) | 05:00 ~ 10:30 | 장전 거래 (프리마켓) | 04:00 ~ 09:30 |
정규 거래 | 10:30 ~ 17:00 | 정규 거래 | 9:30 ~ 16:00 |
정규 거래 시간 (애프터마켓) | 17:00 ~ 19:00 | 장후 거래 (애프터마켓) | 16:00 ~ 18:00 |
미국주식 거래 시간 (한국 시간 기준)
썸머타임 해제 기간 | 썸머타임 기간 (2020년 기준 : 3월 8일~ 11월 1일) | ||
장전 거래 (프리마켓) | 21:00 ~ 23:30 | 장전 거래 (프리마켓) | 증권사마다 다름 |
정규 거래 | 23:30 ~ 06:00 | 정규 거래 | 22:30 ~ 05:00 |
장후 거래 (애프터마켓) | 06:00 ~ 07:00 | 장후 거래 (애프터마켓) | 증권사마다 다름 |
***
한국에서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거래시간은 증권사마다 다르다.
한국주식과 미국주식 거래시간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국시간 기준 24시간 표를 만들어 보았다.
(** 미국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키움증권 거래시간 기준 **)
미국 주식 시장도 단일가 경매제도 (동시호가) 가 있다.
단 국내에선 시차로 인해 대부분의 거래자들이 동시호가 시간까지 고려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위의 표에선 생략하였다.
키움증권 - 영웅문 글로벌S 앱으로는 장전 및 장후(프리마켓, 애프터마켓)거래가 가능하다.
프리마켓 거래시, 지정가로선택 해야 매매가 가능하며 시장가로 선택시 예약주문으로 안내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애프터마켓 거래시에는 AFTER지정가로 선택하여 매매한다.
아래는 키움증권에서 안내하는 미국주식 시장가 주문 유의사항이다.
-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은 정규시장만큼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주문체결이 어려울 수 있으며 가격 차이가 많이난다.
- 되도록 정규장 시간에서 거래하도록 하자
***
참고 | 미국의 단일가 경매(동시호가) 제도
나스닥
나스닥의 거래시간은 현지 시간으로 오전 7시부터 오후 4시이다. 이중 오후 3시50분부터 오후 4시까지는 우리나라의 장마감 동시호가와 동일하게 Close auction session이 운영된다.
국내 제도와의 차이점은
- Close auction session중에도 continuous auction은 이루어진다.
- Close auction에 체결을 시키기 위해서는 3시50분이전에 별도의 on-close condition 주문을 넣어야 한다.
- 3시50분부터 오후 4시까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문을 넣거나 취소할 수 없다.
는 점이다.
동시호가에 체결을 시키기 위한 주문은
- Market-on-Close (MOC) order : 장마감 시장가 주문
- Limit-on-Close (LOC) order : 장마감 지정가 주문
- Imbalance-Only (IO) order : 물량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주문
(예를 들어 매도 물량이 매수 물량보다 많은 경우 IO 매수 주문이 가능)
이 있다. 이중 IO주문을 제외하고는 3시50분 이후에 주문을 넣을 수 없다.
또 3시50분부터 오후 4시까지는 5초 간격으로 Imbalance direction을 포함한 시장 정보가 발표된다. 따라서 매매자는 3시50분 전에 미리 on-close 주문을 내놓거나 3시50분부터 4시 사이에 그냥 continuous auction을 이용할지 아니면 IO주문을 사용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체결 가격은 on-close가 아닌 일반 지정가 주문과 on-close 주문들을 모두 고려하여 산정된다.
뉴욕 증권 거래소
뉴욕 증권 거래소의 제도도 나스닥과 유사한데 다만 뉴욕 증권 거래소의 경우에는 Floor 매매를 포함한 여러 채널의 매매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차이가 있다.
뉴욕 증권 거래소에도 MOC, LOC 주문이 존재하고 나스닥의 IO주문과 같은 CO (Closing Offset) 주문이 있다.
Close auction session은 오후3시45분부터 3시59분50초까지이다.
나스닥과 마찬가지로 Close auction session이 시작되면 일반적으로 CO주문을 제외한 on-close주문을 넣을 수 없다.
'경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노리 체크카드 혜택 : 20대, 대학생 추천 체크카드 (0) | 2023.08.21 |
---|---|
우리나라 기축통화국 될 가능성 높다? 기축통화란? (0) | 2022.02.22 |
[테슬라] 3분기 차량 인도량 발표 (0) | 2020.10.02 |
2020 미국 주식시장 휴일 캘린더 - 추수감사절, 성탄절 (0) | 2020.09.30 |
미국주식 세금 | 미국 주식을 거래하면 내야하는 세금 총정리 (0) | 2020.08.27 |